지난 날 29일부터 전월세 전환율이 기존 4%에서 2.5%로 인하되었습니다.
전월세 전환율이란?
전세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비율을 말합니다.
월세를 전세와 보증금 차이로 나누고 100을 곱한 뒤 12개월을 곱해 계산됩니다.
전월세 전환율 = 월세 / (전세금 - 보증금) X 12
가령 1억원인 전세를 보증금 2000만원에 월세 40만원으로 갈아탄다면
40 / (10000 - 2000) X 12 = 0.06 으로 6%가 되는 것입니다.
월차임 전환을 기존 '기준금리 더하기 3.5%'에서 '기준금리 더하기 2%' 로 낮추어 개정한 것입니다.
현 기준금리는 0.5%라서 이제는 전월세 전환율이 2.5%가 되는 것입니다.
집주인과 전세를 월세로 바꾸기로 했지만 월세가 전월세전환율을 적용했을 때보다 많이 책정된 경우 세입자는 계약을 무시하고 법적 전월세전환율 범위 내에서만 월세를 내면 되고, 월세 중 전월세전환율을 초과한 금액은 법적 근거가 없어 무효로서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고는 하는데,
글쎄요,, 사회적 약자일 수 밖에 없는 세입자가 쉽지 않은 소송으로 반환을 받는다는 것은 현실적으로는 쉬울까요?
보증금 5억원 주택 전세를 보증금 3억원에 월세로 전환한다면
종전 전환율 4.0%를 적용하면 보증금 3억원에 월 66만6천원 정도를 내야했던 것을
이제는 인하된 2.5%로 계산하면 월 41만6천원 정도로 25만원 정도 덜 내게 되는 것입니다.
보증금 1억원에 대한 월세 전환 금액은
기존 전환율 4%를 적용하면 33만3천원 가량 월세로 내야됐던 것이 전환율 2.5%를 적용하여 20만8천원 가량이 보증금 1억원에 대한 월세 전환 금액이 되는 것입니다.
이렇게 낮아진 전훨세 전환율은 새 계약을 맺을 때는 적용되지 않아서 얼마나 효과가 있을 지도 의문입니다.
전월세 전환율은 법적 기준일 뿐 강제성을 부여하기 어려울 뿐더러
전에 살던 세입자를 내 보내고 새로 세입자와 계약을 맺으면서 전세가를 대푝 올려서,
그 인상된 전세값을 바탕으로 월세를 산정한다면,
낮아진 전환율 2.5를 적용해도 월세 금액은 많을 것이니까요.
'부동산 정보·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계약 갱신 거절한 집주인 실거주 확인 어려워 (0) | 2021.02.24 |
---|---|
집주인 계약파기 가계약금 배액배상일까? 계약금 배액배상일까? (0) | 2020.12.01 |
부부공동명의 종부세 고령자 및 장기보유특별공제 (0) | 2020.11.25 |
개정 포함 부동산 취득세 종합 정리 (0) | 2020.11.20 |
일시적 1가구 2주택 비과세 양도소득세 특례 규정 (0) | 2020.11.19 |
댓글